cgy12306
함수 본문
함수
함수(function)란 하나의 로직을 재실행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여준다.
방대한 양의 코드를 줄여주고, 유지보수를 쉽게 해주며, 버그가 발생할 여지를 줄여주는 것들이다.
사용 방식
function 함수명 (인자){
코드
return 반환값;
}
호출할 때에는 함수명();을 쓰면 된다.
0부터9까지 출력되는 걸 볼 수 있다.
이렇게 함수를 여러 번 호출할 수 있다.
return으로 값을 반환해 줄 수 있다.
그래서 각각 member1은 egoing, member2은 k8805을 반환해 준다.
return이 등장한 이후에는 함수 내의 어떠한 코드도 실행되지 않는다.
인자
인자(argument)는 함수로 유입되는 입력 값을 의미하는데, 어떤 값을 인자로 전달하느냐에 따라서 함수가 반환하는 값이나 메소드의 동작방법을 다르게 할 수 있다.
1이라는 인자를 함수를 통해 넘겨주고 함수는 변수 arg에 인자 값을 받아서 다시 반환해주고 반환해준 값을 출력해준다.
2도 마찬가지이다.
인자를 여러 개 넘겨주고 넘겨 받을 수 있다.
인자의 기본값을 설정해 줄 수 있다. 인자를 넘겨주지 않으면 기본 값이 100으로 설정되는 코드이다.
지역(local)변수는 함수안에서만 유효한 변수이다.
전역변수는 함수밖에서도 유효한 변수이다.
변수 선언할 때 global을 붙여주면 전역변수로 선언된다.
출처 : https://opentutorials.org/course/62/5124
함수 - 생활코딩
함수 함수(function)란 하나의 로직을 재실행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여준다. 사실 함수 이전에 우리가 배웠던 것들로도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다. 그런 점에서 함수 이전의 내용들은 프로그래밍의 실체라고 할 수 있다. 그 이후부터 등장하는 함수나 객체지향과 같은 개념들은 그것 자체가 프로그래밍의 연산이나 논리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것이라기 보다는 방대한 양의 코드를 줄여주고, 유지보수를 쉽게하고, 버그가 발생할 여지를 줄여주는
opentutorials.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