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370)
cgy12306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는 서로 연관된 데이터들을 모아 놓은 집합이다. MYSQL이란 데이터베이스라는 분류의 제품군에 속한 구체적인 상품으로 ORACLE에 의해서 개발되고 있다. 데이터베이스와 PHP 일반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해야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는 경우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한다. PHP 애플리케이션의 코드에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접속해서 데이터를 조회, 수정, 삭제하는 코드를 작성한다. PHP 애플리케이션이 호출되면 PHP 엔진은 PHP 애플리케이션의 코드에 따라서 데이터베이스의 클라이언트가 되어서 데이터 베이스에 접속해서 여러가지 작업을 처리한다. Database, Table 제어 opentutorials라는 DB를 생성하고, 선택해준다. topic이라는 테이블을 추가해준다. id..

문자열 문자열을 표기할 땐 ‘(단따옴표), “(쌍따옴표)를 사용한다. ‘나 “를그냥 문자로 표기할 땐 \를 앞에 붙여준다. 줄 바꿈 할 때는 쌍따옴표 안에서 \n, \r을 사용한다. 문자열 안에서 변수를 사용하려면 쌍따옴표 안에서 {}(중괄호)를 사용한다. 문자와 문자를 더 할 때는 .(마침표)를 사용한다. 이 부분은 앞의 예제에서 많이 봤기 때문에 그냥 넘어가겠다. 정규표현식 정규 표현식은 문자열을 처리하는 방법 중의 하나로 특정한 조건의 문자를 검색하거나 치환하는 과정을 매우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다. PHP와 정규표현식 PHP의 정규표현식은 구분자로 시작해서 구분자로 끝을 내야한다. 닫히는 구분자 뒤에는 옵션이 위치할 수 있는데 옵션에 따라서 정규표현식이 다르게 동작한다. i는 대소..

이미지 다루기 GD는 이미지처리 작업을 해주는 라이브러리이다. 버전을 확인하고 설치하자 워터마크(버튼) iamegecopy의 첫번째 인자는 첫번째 이미지, 두번째는 두번째 이미지, 세번째는 첫번째 이미지의 x좌표, 네번째는 첫번째 이미지의 y좌표, 다섯번째는 두번째 이미지의 x축, 6번재는 y축, 7번째는 끝점의 x축, 7번째는 끝점의 y점 좌표이다. 출처 : https://opentutorials.org/course/62/5137 이미지 다루기 - 생활코딩 PHP를 이용해서 이미지를 프로그래밍적으로 생성하고 변경할 수 있다. GD 이미지처리 작업은 PHP의 기본적인 기능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대신 라이브러리나 외부 프로그램과 연동을 해야 하는데 GD라이브러리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GD의 설치 GD..

파일 업로드 input 타입이 file이고 name이 userfile이다. MAX_FILE_SIZE라는 파일의 최대 사이즈 정보를 hidden으로 숨기도록 해놨다. 그리고 POST방식을 사용한다. 인코딩 타입은 multipart/form-data로 지정해준다. upload 후에 페이지 소스를 보면 배열이 있는데 userfile이라는 변수가 있다. 이 userfile에는 배열이 또 담겨있다. name, type, tmp name, error, size가 있다. 여기서 tmp name은 임시로 이름이 주어진 것인데 브라우저를 통해 서버로 파일을 보내면 서버의 임시 디렉토리 안에 파일이 들어간다.(원래는 tmp_name => 옆에 떠야하지만 안뜬다… 밑에 error보면 에러가 int(2)가 있다. 아마 에러가..

현재 디렉토리와 디렉토리의 변경 getcwd는 현재 디렉토리를 통해서 현재 디렉토리를 알 수 있고, chdir을 이용해서 디렉토리를 변경할 수 있다. ‘..’는 이전 디렉토리를 의미하고, ‘.’는 현재 디렉토리이다. 디렉토리의 탐색 scandir은 디렉토리를 탐색하는 기능이다. 첫번째 인자는 탐색할 디렉토리의 경로이고, 두번째 인자는 정렬 방법이다. 두번째 인자가 0을 입력되면 기본으로 정렬되고, 1이면 역순으로 정렬된다. 디렉토리의 생성 mkdir은 디렉토리를 생성하는 내장함수이다. 첫번째 인자로 디렉토리의 이름, 두번째 인자로 디렉토리의 권한을 지정할 수 있다. 세번째 인자 값으로 true를 지정하면 첫번째 인자로 주어진 경로가 여러 개의 디렉토리로 이루어져 있을 때 디렉토리를 한번에 생성할 수 있다..

권한 이 코드는 특정 파일이 읽을 수 있는 상태인지를 확인한다. is_readable 함수를 사용한다. 이 코드는 특정 파일이 쓸 수 있는 상태인지를 확인한다. is_writable 함수를 사용한다. 이 코드는 파일의 존재 여부를 확인한다. file_exists 함수를 사용한다. 출처 : 생활코딩

파일 파일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본적인 단위이다. 파일의 제어 readme.txt라는 파일을 file이란 변수에 담아주고 카피 될 파일의 이름은 example.txt.bak라는 이름을 newfile에 담아준다. copy함수는 첫번째 인자에 원본파일이 있어야 하고 두번째 인자는 원본파일을 복사할 파일의 이름이 와야 한다. 이런 오류가 뜬다. 권한이 없다는 것 같다. 권한을 주고 다시 실행시키니 복사가 되었다. 파일삭제 deleteme.txt를 삭제할 것이다. 삭제가 되었다. unlink는 파일을 삭제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파일 읽기와 쓰기 file_get_contents는 텍스트로 이루어진 파일을 읽어서 문자열을 리턴한다. file_put_contents는 문자열을 파일에 저장해준다. writeme라..

컴포저는 php의 의존성 관리 도구이다. 필요한 확장 기능을 쉽게 설치해주는 기능도 제공하지만, 프로젝트에서 필요한 확장 기능을 통합해서 관리해주는 도구이다. curl 설치 composer 설치 설치 확인 Packagist Packagist는 컴포저의 메인 저장소이다. 이곳을 통해서 다양한 패키지를 검색할 수 있다. https://packagist.org 의존성 정의 프로젝트에서 사용할 라이브러리를 아래와 같이 지정한다. 파일의 이름은 composer.json으로 해야 한다. 설치 composer.json의 내용을 읽어서 여기에 정의된 라이브러리를 설치한다. composer.lock 컴포저를 인스톨하면 composer.lock 파일이 생성된다. 이 파일은 현재 설치된 라이브러리를 이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
라이브러리 코드를 작성하다 보면 자주 사용되는 로직이 있는데 그 로직을 재활용 가능하도록 만든 것이 라이브러리(library)라고 한다. 라이브러리는 자기 자신이 사용하기 위해서도 만들 수 있고, 불특정 다수가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개할 수도 있다.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면 필요한 로직을 직접 구현할 필요가 없이 라이브러리에서 제공하는 API를 호출하는 것을 통해서 원하는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